- * 프린트는 Chrome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print

지진은 강한 지반 운동을 발생시키며, 이는 기존 인프라의 파괴와 인명 피해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지속가능성에 중대한 위협이 됩니다. 한국에서도 2016년 규모 5.8의 경주 지진과 2017년 규모 5.5의 포항 지진이 발생하여 인명 피해는 물론 구조물과 기반시설의 손상, 경제적 손실이 뒤따랐습니다. 이로 인해 한국에서도 지진 관련 재해에 대한 관심이 점점 커지고 있습니다. 저는 지금까지 지진재해위험도 분석, 부지응답 해석, 사면 안정성 분석, 액상화 분석 등을 통해 지진 및 2차 피해를 예측하는 연구에 집중해 왔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새로운 내진 구조물의 설계와 기존 구조물의 내진 보강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습니다. 앞으로도 이 분야의 학술적 수준을 더욱 발전시키는 동시에, 학제 간 협력을 통해 추가적인 연구를 지속해 나가고자 합니다.
Major research field
지진; 지진파 증폭; 지진파 예측; 산사태; 액상화
Desired field of research
인공지능을 활용한 지진파 예측
Research Publications
MOREYoungkyu Cho, Jin Tae Han, Yun Wook Choo, Jinsun Lee, Jongkwan Kim, Kiseog Kim, Ka-hyun Park, Jae-Hyun Kim, Heon-Joon Park, Dongyoup Kwak, Duhee Park, Jae-Soon Choi, Sung-Ryul Kim, and Byungmin Kim* (2024), Assessments of liquefaction triggering using in situ and laboratory tests in Pohang, South Korea, Journal of Geotechnical and Geoenvironmental Engineering, v150(12)
Jisong Kim and Byungmin Kim* (2024), 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 to produce numerous artificial accelerograms with pseudo-spectral acceleration as conditional input, Computers and Geotechnics, v174
Hwanwoo Seo, Seokho Jeong, Kwang-Hee Kim, and Byungmin Kim* (2024), Ground response and liquefaction evaluations for the 2017 Pohang, Korea, earthquake based on shear wave velocity profiles estimated by microtremor array measurements, Soil Dynamics and Earthquake Engineering, v182
Hyejin Lee, Jae-Kwang Ahn, Byungmin Kim, and Kwan-Hee Yun (2024), An approach for predicting surface strong motion using borehole seismometers
국가과학기술표준분류
- EI. 건설/교통
국가기술지도분류
- 국가안전 및 위상 제고
녹색기술분류
- 녹색기술관련 과제 아님
6T분류
- 기타 분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