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tmospheric Chemistry and Emissions Modeling Group

대기화학 모델링 연구실

관련기사 바로가기

The Atmospheric Chemistry and Emissions Modeling (ACHEM) group studies gaseous and particulate pollutants contained in the air we breathe. We utilize 3-D chemical transport models, machine learning approaches, and various Earth observations including satellites, aircraft, and ground monitoring networks to identify sources, better predict, and understand the chemical fate of air pollutants and greenhouse gases.
대기화학 모델링(ACHEM) 연구실은 인간이 생활하면서 가장 오랜 시간동안 접하며 들이마시고 내쉬는 대기 속에 포함된 가스상과 입자상 오염 물질들을 연구합니다. 대기오염과 기후변화 유발 물질들의 배출원과 화학적 생성 및 소멸 과정에 대한 이해를 높여 모의 정확도를 향상 시키고, 생태계 및 기후에 미치는 사회경제적인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3차원 대기화학 수송 모델 및 머신러닝 기법과 더불어 인공위성, 항공, 지상 관측과 같은 다양한 지구 관측 자료를 활용합니다.

Major research field

Atmospheric chemistry, Climate change, Air quality modeling, Carbon emissions / 대기화학, 기후변화, 대기질 모의, 탄소 배출량 산정

Desired field of research

Integrated carbon monitoring using numerical models, machine learning, satellites, and ground-based measurements / 수치모델, 머신러닝, 위성관측, 지상관측을 활용한 통합 탄소 모니터링

Research Keywords and Topics

・ Air quality (AQ) assessment: leverage geostationary satellite constellation for AQ to improve models, quantify precursor emissions, produce surface AQ data, and assess socioeconomic impacts
・ Greenhouse gas (GHG) monitoring: leverage area flux and point source imaging satellites to identify major sources and trends of GHGs (methane, CO₂), and assess progress of nationally determined contributions (NDCs) for carbon neutrality

・ 대기질 모의: 정지궤도 환경위성 군집을 활용한 대기질 모델 개선, 전구체 배출량 산정, 지상 대기질 자료 생산, 사회경제적 영향 평가
・ 온실가스 모니터링: 모델과 위성을 활용한 온실가스(메탄, CO₂) 배출량의 하향식 산정, 탄소중립을 위한 국가결정기여(NDC) 이행 현황 평가

Research Publications

・ ATMOSPHERIC CHEMISTRY AND PHYSICS, Air quality trends and regimes in South Korea inferred from 2015−2023 surface and satellite observations, Oak, Y. J., Jacob, D.J., Pendergrass, D.C., et al. (2025)
・ ATMOSPHERIC MEASUREMENT TECHNIQUES, A bias-corrected GEMS geostationary satellite product for nitrogen dioxide using machine learning to enforce consistency with the TROPOMI satellite instrument. Oak, Y. J., Jacob, D.J., Balasus, N., et al. (2024)
・ 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Future air quality and premature mortality in Korea. Oak, Y. J., Park, R.J., Lee, J.-T., Byun, G. (2023)

국가과학기술표준분류

  • ND. 지구과학(지구/대기/해양/천문)
  • ND04. 대기과학
  • ND0404. 대기화학

국가기술지도분류

  • 환경/에너지 프론티어 진흥
  • 030100. 대기오염물질 저감 및 제거기술

녹색기술분류

  • 예측기술
  • 기후변화 예측 및 영향평가
  • 111. 기후변화 예측 및 모델링 개발기술

6T분류

  • ET 분야
  • 환경기반
  • 050111. 대기오염물질 저감 및 제거기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