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도 1차 에너지인력양성사업 신규지원대상 연구개발과제 공고
Feb 07. 2025
8조회
담당자[ person in charge ] | 관련분야[ Related research area ] | ||
---|---|---|---|
연락처[ Contacts ] | 이메일[ E-mail ] | ||
부처명[ Goverment department ] | 산업통상자원부 | 공고기관[ Announcing institute ] |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 |
공고일[ Announcement date ] | 2025.02.07 | 접수마감일[ Deadline ] | 2025.03.17 |
연구지원팀 접수마감일[ Deadline for Research supporting team ] |
산업통상자원부 공고 제2025-115호
2025년도 1차 에너지인력양성사업 신규지원대상 연구개발과제 공고
에너지인력양성사업의 2025년도 1차 신규지원 대상 연구개발과제를 다음과 같이 공고하오니 해당 기술개발과제를 수행하고자 하는 자는 관련규정에 따라 신청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2025년 2월 7일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사업목적
탄소중립 시대를 이끌어갈 에너지 기술분야의 혁신인재를 양성하여 에너지산업의 기반조성
연구개발비 지원 규모 및 기간
총 67.38억원 내외 지원
(단위 : 억원, 개)
지원분야 | 세부사업명 | 내역사업명 | 공모방식 | 프로그램명 (또는 과제명) |
지원예산 (‘25년 정부지원 연구개발비) |
대상연구 개발과제 |
---|---|---|---|---|---|---|
기반조성 | 에너지 인력양성사업 |
교육훈련 | 품목 | 에너지융합대학원 | 26.01 | 4 |
에너지혁신연구센터 | 8 | 8 | ||||
자유 | 에너지기술공유대학 | 30 | 2개내외 | |||
정책기반 | 품목 | 에너지인력양성 선순환체계 플랫폼 구축 | 3.37 | 1 | ||
합 계 | 67.38 | 15 |
지원규모 | 지원기간 |
---|---|
연구개발과제별 특성에 따라 달리함 (분야별 예산 참조) | 연구개발과제별 특성에 따라 상이 (기술개요서 참조) |
대상 연구개발과제수는 지원 연구개발과제수이며,“자유공모”는 접수 및 평가결과에 따라 변동 가능
지원예산은 정부지원연구개발비에 한함
사업별 예산규모, 기술정책방향 및 평가결과 등에 따라 지원 예산 및 연구개발과제 수 변동 가능
협약체결은 전체연구개발기간에 대해 일괄협약이 원칙이며, 필요한 경우 단계구분에 대한 내용을 포함하여 협약 체결
※ 상세 지원내용은 첨부의『2025년도 1차 에너지인력양성 프로그램별 세부 지원내용』
지원대상 연구개발과제 목록
세부 사업명 |
분야 | 연구개발과제명 | 연구개발 과제유형 |
수행기간 (년) |
’25년 정부 지원 연구 개발비 (억원) |
주관 연구 개발 기관 |
중소 중견 참여 형태 |
연구개발 과제특성 |
|
---|---|---|---|---|---|---|---|---|---|
공모 형태 |
개발 형태 |
||||||||
에너지 인력양성사업 |
교육훈련 (융합대학원) |
CCUS 전주기 운영 기술-정책 융합 대학원 | 품목 지정 |
원천 기술 |
4.75 | 6.5 내외 |
대학 | – | 기술료비징수 |
에너지저장장치의 자원순환 기술-정책 융합대학원 | 품목 지정 |
원천 기술 |
4.75 | 6.5 내외 |
대학 | – | 기술료비징수 | ||
차세대 전력시장 대응 기술-정책 융합대학원 | 품목 지정 |
원천 기술 |
4.75 | 6.51 내외 |
대학 | – | 기술료비징수 | ||
저탄소 원료 정유공정 혁신 융합대학원 | 품목 지정 |
원천 기술 |
4.75 | 6.5 내외 |
대학 | – | 기술료비징수 | ||
교육훈련 (혁신연구센터) |
선진 핵연료 혁신연구센터(경쟁형, 2개) | 품목 지정 |
원천 기술 |
6.75 | 과제당1내외 | 대학 | – | 기술료비징수, 경쟁형 |
|
고효율 전력변환 기반 차세대 전력기기 시스템 혁신연구센터(경쟁형, 2개) | 품목 지정 |
원천 기술 |
6.75 | 과제당1내외 | 대학 | – | 기술료비징수, 경쟁형 |
||
고효율 발전용 연료전지 시스템 설계 및 고도화 혁신연구센터 (경쟁형, 2개) |
품목 지정 |
원천 기술 |
6.75 | 과제당1내외 | 대학 | – | 기술료비징수, 경쟁형 |
||
무탄소 연료(수소, 암모니아) 가스터빈 설계 및 제작, 안전 혁신연구센터 (경쟁형, 2개) |
품목 지정 |
원천 기술 |
6.75 | 과제당1내외 | 대학 | – | 기술료비징수, 경쟁형 |
||
정책기반 | 에너지인력양성 선순환체계플랫폼 구축 | 품목 지정 |
원천 기술 |
4.75 | 3.37 내외 |
제한없음 | – | 기술료비징수 | |
교육훈련 (에너지기술공유대학) |
에너지기술공유대학(자유공모, 2개 내외) | 자유 공모 |
원천 기술 |
5.75 | 과제당 15~20 내외 |
비영리 기관 |
– | 기술료비징수 |
※ 과제별 세부내용, 총수행기간, 총 정부지원연구개발비 등은 연구개발과제별 기술개요서, 프로그램 개요서 반드시 참고
※ 평가결과에 따라 연구개발비 및 수행기간 등은 연구개발과제평가단에서 조정 가능함
※ 자세한 연차별 수행기간은 “신청용 연구개발계획서의 수행기간(연차) 산정”을 참조
※ 협약체결은 전체연구개발기간에 대해 일괄협약이 원칙이며, 총수행기간이 4년을 초과하는 경우 단계로 구분하여야 함(총 수행기간이 4년을 초과(5년 이상)하는 경우 1년에서 4년 단위로 단계를 구분)
※ 기업(중소중견 등), 연구소 등 참여가 필수인 연구개발과제는 연구개발과제별 RFP 및 기술개요서에 명시됨
※ 상기 지원대상 연구개발과제 목록과 관련된 사항은 “붙임 4. 기타유의사항”을 참조
※ “경쟁형 과제”란 선정평가를 통해 복수의 연구개발기관을 선정.지원하여, 단계평가 등을 통해 계속 수행 1개 과제를 최종 선정하는 과제 유형을 말함
신청방법 및 제출기한
구분 | 연구개발계획서 |
---|---|
신청방법 |
– 계획서(필수서류) 및 첨부서류 온라인 일괄 접수 –
*오프라인(방문) 서류제출 불필요 |
공고기간 | ’25.2.7.(금) ~ 3.17.(월) 까지 |
신청 기간 및 관련 양식 교부 |
연구개발계획서 신청기간 :’25.2.14.(금) ~ 3.17(월) 18:00 까지(접수마감시간 엄수)
전산등록과 동시에 첨부 서류를 온라인으로 접수
|
양식교부 및 안내 :
– 범부처통합연구지원시스템(www.iris.go.kr)
–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 홈페이지(www.ketep.re.kr) 정책과 소식(사업공고)
|
전산 등록처 : 범부처통합연구지원시스템(IRIS, www.iris.go.kr)
※ 범부처통합연구지원시스템(IRIS)을 통한 과제신청을 위해 사전에 반드시‘접수전 필수 이행사항’을 조치하여야 함(첨부 매뉴얼 참조)
필수이행사항 : 이용자 회원가입 및 연구자전환, 기관대표자 등록 및 기관총괄담당자 신청, 기관 당담자 권한 부여 및 주관연구기관 승인권한 확인 등
IRIS상 연구개발기관의 대표자는 해당기관 사업자등록증상 대표자 성명과 일치하여야 하며, 접수마감 시간까지 IRIS 기관대표자 신용정보 조회 동의를 완료하여야 함(확약서 제출 필수)
※ 반드시 접수마감 시간 전 까지 제출이 완료되어야하며, 마감시간(18:00)이 지나면 제출완료되지 않은 상태는 접수시스템이 자동으로 차단되어 접수 불가
※ 회원가입, 연구개발과제 전산정보 입력 및 제출서류 업로드 등에 최소 하루이상 소요 될 수 있으므로 마감일 2~3일 전에 과제접수가 완료 될 수 있도록 사전 등록 권장
※ 접수된 서류 및 연구개발계획서 등이 허위, 위․변조, 그 밖의 방법으로 부정하게 작성된 경우 관련 규정에 의거, 선정 취소 및 협약해약 등 불이익 조치함
사업설명회
목적 : ’25년도 1차 공고 에너지인력양성사업 신규지원 대상, 연구개발계획서 작성 및 전산접수 방법 등을 안내
개최 일자 및 장소
일자 | 지역 | 개최 장소 | 시간 |
---|---|---|---|
’25.2.11(화) | 대전 | 대전 철도트윈타워 2층 KTX-산천 회의실(대전역 동광장) (주소 : 대전광역시 동구 중앙로 240.242) |
11:00∼12:00 |
상기 개최 일정 및 장소는 사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니, 설명회에 참석하고자 하는 경우 사전에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 홈페이지 공지사항을 확인 요망
사업설명회 참석을 위한 별도의 사전등록은 없으며, 관련 자료는 온라인 배포예정
설명회 당일 혼잡이 예상되므로 대중교통을 이용(주차비 미지원)
상세 내용 및 관련 양식은 범부처통합연구지원시스템(www.iris.go.kr),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 홈페이지(www.ketep.re.kr) 정책과 소식(사업공고) 참조
연구개발계획서
전산 등록 관련 문의 : IRIS 고객센터(☎ 1877-2041, 042-862-1500)
연구개발과제/접수‧평가 관련 문의
담당부서 | 세부사업명 | 연구개발과제 (RFP/기술개요서) 문의 |
신청자격.접수.평가 문의 |
---|---|---|---|
연락처 (☎ 02-3469-0000) | |||
인력양성실 | 에너지융합대학원 | 8453 | 8453 |
에너지혁신연구센터 | 8452 | 8451 | |
에너지기술공유대학 | 8452 | 8452 | |
에너지인력양성 선순환체계구축 | 8455 | 8452 |
상기 연락처는 변경될 수 있음
[첨부파일]